전체 글
-
Effective Java - 2장. 생성과 파괴(3/3)Computer - Java 2022. 12. 23. 21:22
item 1. 생성자 대신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고려하라 item 2. 생성자에 매개변수가 많다면 빌더를 고려하라 item 3. private 생성자나 열거 타입으로 싱글턴임을 보증하라 item 4. 인스턴스화를 막으려거든 private 생성자를 사용하라 item 5. 자원을 직접 명시하지 말고 의존 객체 주입을 사용하라 item 6. 불필요한 객체 생성을 피하라 item 7. 다 쓴 객체 참조를 해제하라 item 8. finalizer와 cleaner 사용을 피하라 item 9. try-finally 보다는 try-with-resources를 사용하라 item 7. 다 쓴 객체 참조를 해제하라 가비지 컬렉터를 너무 믿지 말자. 클래스 내에서 직접 메모리 관리를 해야하는 경우 : 임의로 null을 처리하..
-
Effective Java - 2장. 생성과 파괴(2/3)Computer - Java 2022. 12. 23. 19:08
item 1. 생성자 대신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고려하라 item 2. 생성자에 매개변수가 많다면 빌더를 고려하라 item 3. private 생성자나 열거 타입으로 싱글턴임을 보증하라 item 4. 인스턴스화를 막으려거든 private 생성자를 사용하라 item 5. 자원을 직접 명시하지 말고 의존 객체 주입을 사용하라 item 6. 불필요한 객체 생성을 피하라 item 7. 다 쓴 객체 참조를 해제하라 item 8. finalizer와 cleaner 사용을 피해라 item 9. try-finally보다는 try-with-resources를 사용하라 item 4. 인스턴스화를 막으려거든 private 생성자를 사용하라 java.lang.Math / java.util.Arrays => object보다는 ..
-
Effective Java - 2장. 생성과 파괴(1/3)Computer - Java 2022. 12. 23. 07:36
item 1. 생성자 대신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고려하라 item 2. 생성자에 매개변수가 많다면 빌더를 고려하라 item 3. private 생성자나 열거 타입으로 싱글턴임을 보증하라 item 4. 인스턴스화를 막으려거든 private 생성자를 사용하라 item 5. 자원을 직접 명시하지 말고 의존 객체 주입을 사용하라 item 6. 불필요한 객체 생성을 피하라 item 7. 다 쓴 객체 참조를 해제하라 item 8. finalizer와 cleaner 사용을 피해라 item 9. try-finally보다는 try-with-resources를 사용하라 item 1. 생성자 대신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고려하라. 무조건적으로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사용하라기보다는 "고려"하라는 것이다. 그만큼 장단점도 명확한..
-
유산소 운동 후 부정맥? 한번 찾아봤다 (feat. 삼성 갤럭시워치4 심전도)일상 2022. 12. 22. 21:19
전역 후 맛있는 배달음식들을 많이 시켜먹다 보니 나도 모르는 사이에 5kg가 쪄 있었다. 다이어트 해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지만, 취업을 하기 전까지는 여러모로 스트레스 때문에 다짐이 잘 안 섰었다. 그래서 입사를 한 뒤에 바로 한 것이 달리기. 테니스를 6개월 정도 치고 있었기 때문에 엄청 힘들지는 않았지만, 체지방 30%이나 되는 육중한 몸 때문에 3km를 뛰는 게 생각보다 힘들었다. 그래도 지금 다시 3kg정도를 빼면서 몸 복구를 하는 와중에.. ================= 취업 준비 때도 스트레스 때문인지 뭔가 부정맥 비스무리하게 느껴졌던 적이 있었는데, 불안감에 순환계를 전문으로 하는 병원으로 가서 24시간 심전도 검사, 초음파 검사 등을 했을 때는 모두 정상범위였다. 그러다가 오늘 아침운동..
-
카카오 합격일상 2022. 11. 25. 18:22
어제 카카오 합격 소식이 들어왔다. 내가 갈 수 있는 대기업들 중 거의 가장 좋은 곳에 하나에 합격하지 않았나 싶다. 졸업을 하면서 바로 취직하게 될 줄은 몰랐는데, 정말 운이 좋게도, 그리고 감사하게도 내 능력, 혹은 잠재능력을 좋게 평가해주신 것 같아 매우 감사하다는 생각이 먼저 든다. 그리고 군대에서 어렵게 동기 부여하면서 했던 공부들이 결실을 맺는 것 같아 성취감도 많이 든다. 사실 2차 인성면접 때 예상치 못하게 압박면접이 와서 적잖게 당황해서 내가 할 말을 거의 못했었고, 면접이 끝난 다음에 "아, 이건 안 되겠구나" 싶어 다음 1년을 어떻게 보낼까를 생각하고 있었다. 1차 기술면접 때는 내가 노력한 만큼 말했다고 생각해서 합격 발표까지 2차 면접 준비를 조금씩 해 나갔는데, 2차 면접에는 탈..
-
빅데이터분석기사, 정보처리기사 후기일상 2022. 10. 18. 14:37
원래는 군대 내에서 다 따려고 했던 자격증들이었지만 코로나 때문에 외출이 불가능해서 어찌어찌 지금에서야 두 시험을 모두 마쳤다.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는 6월 25일에 시험을 쳤고, 정보처리기사는 16일 실기시험을 봤는데 가채점을 했을 때 여유롭게 통과하는 점수일 것 같다(완벽히 맞은 문제가 65점, 부분점수로도 10점 이상 맞을 것 같다 - 11월 25일 발표) - 왜 굳이 공부하게 되었나? 군대 내에서는 계급이 낮을 때에는 사역에 나가느라 틈이 없어서 공부를 못하게 되고, 계급이 높을 때에는 사람 자체가 게을러져서 공부를 잘 안 하게 된다. 그래서 어떻게든 목표를 잡아서 공부하려고 했던 게 제일 컸던 것 같다. 빅데이터분석기사는 자격증 자체보다는 조금이라도 빅데이터 관련 이론 지식들을 조금 더 접해보고..
-
[연주영상] 2019 Snupo & Snupia Ensemble - Brahms Trio no.1 4th mov취미/음악 2022. 9. 30. 01:21
브람스 피아노 트리오 1번 4악장 이 곡은 굉장히 할 말이 많은 곡이다. 아다지오 3악장을 제외한 전악장을 몇십 번 들었고 1악장, 4악장은 직접 연주까지 했던 나이기에 어디 술집에 가서 이 곡에서 여기 부분이 어떻느니 이야기를 몇시간이고 풀 자신이 있을 정도이다. op.8인만큼 굉장히 파릇파릇한 청년기에 작곡한 곡인 것 같지만, 이 곡은 1891년 50살이 넘은 원숙기에 작곡한 곡이다! 사실 1854년도에 출판을 했으나, 그 완벽주의자 성격인 브람스가 35년 이상 갈고닦은 스킬로 완벽하게 탈바꿈했고 오늘날 1854년 판은 거의 연주되지 않고 이 1891년 판이 주로 연주된다. 물론 1854년에 출판된 주요 theme, 주제들은 거진 살린 채 편곡을 해서, 두 곡이 완전히 다르다고 느껴지진 않을 것이다...
-
[알고리즘 소개] Pair의 Counting SortComputer - Problem Solving/Algorithm 2022. 9. 29. 22:19
Counting Sort는 특정 문제에서 굉장히 강력한 성능을 내는데, 앞서 얘기한 suffix array에서의 정렬 또한 counting sort를 이용하여 logN이라는 귀중한 시간복잡도를 나눌 수 있다! 일반적인 counting sort는 굉장히 쉬운 반면에, pair로 되어있으면 순간 뇌정지가 온다(필자는 Radix Sort를 놀랍게도 한번도 써보지 않았다!) 하지만, 조금의 요령만 있다면 counting sort를 두 번 하는 것으로 해결된다. Remind – Stable Counting Sort 필자는 Counting Sort만 알고 Stable Counting Sort의 원리를 알지 못했어서 Pair의 Counting Sort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었다. “Stable” Counting ..